제테크 소통

20대 추천 고수익 제테크 아트테크 ! <후기>

고라뉘 2020. 7. 9. 15:53

안녕하세요~
도심속의 정보를 쏙!쏙! 찾아 알려주는 고라뉘 입니다!

요즘 코로나때문에 다들 경기도 안좋구 적금 이율도 낮고 그렇다고 주식이나 부동산을 하자니 위험부담이 크고..

 

 



뭔가 안전하면서 수입이 되는 제테크가 없을까? 라는 생각들을 었을겁니다.. 저 또한 늘 고민중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제가 최근에 해본 제테크로 생각보다 괜찮다!라는 느낌을 받아서 여러분들께 추천 해보려고 합니다.

 

아트 테크

 

제가 추천드리는 제테크는 "아트테크" 입니다.

아트테크란?

아트(art)+테크(tech)는 예술품과 제테크의 합성어입니다.
현물(미술품)투자로 안정적인 자산을 확보하고, 부유층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미술품을 누구나 소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저작권 수익을 나눠갖는 새로운 형태의 투자형제테크 입니다.

쉽게 설명 해서 그림에 투자를 하는것을 말합니다.
작가의 미술품을 공동으로 구매하여 지분을 갖춰 일정 수익금을 받으면서 추후 시세차익이 발생하면 그 금액도 받아가는 제테크 입니다.


아트테크의 장점은?

 

부자들이 이용하는 투자

 

 

 

아트테크 장점

 

1. 고정적인 수입
100만원이상 투자시 약 1%이상의 금액이 매달 들어옵니다.
100만원 투자하면 1만원이 들어옵니다.

2. 3년동안 원금보존도가 높음
그림을 처음 구매하였을때 가격보다 떨어지는 경우 재매입보증서 발행으로 3년간은 떨어질 걱정이 없습니다.

3.시세차익
추후 매수자가 나타난다면 그림을 팔수있게 되고 판매하여 차익을 얻을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많이 투자한다고 합니다.

단점은 ?

1. 최초 구매시 수수료가 작품마다 5-11%의 금액을 내야한다.

  • 이렇게 되면 작품을 구매시 수익이 발생되려면 평균 1년이상은 가지고 있어야 수수료를 제외하고 순수익이 남게 됩니다.

    2. 공동구매는 한번에 200만원까지 가능.

  • 더욱 큰 금액을 투자하고싶지만 그림 하나당 수수료 포함하여 200만원이 한도로 되어있습니다.

    3.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 투자 후기.

  • 저는 실제로 아트테크를 찾아본 후 핀크 라는 어플을 통해 아트투게더에 소액 투자를 하였습니다.
  •  

 

첫번째 투자 낸시랭 작품

 

첫번째로 소액을 넣은 작품은 낸시랭님의 작품입니다.
제 기억속에는 낸시랭 이라는 분은 어깨위에 고양이를 올리고 다니는 모습이 기억나는데요 이렇게 멋진 그림을 그리시고 계셨더라구요.

처음라는 투자라 저는 13주 구매를 하였고 수수료(11%)를 포함하면 14만4300원을 투자하였습니다.

현재 작품이 미술관에 전시되기전에 판매 전화가 업체쪽에서 와서 동의를 하였고, 약 10% 차익금을 준다고 하네요.
여기서 10%는 13만원에 대한 금액을 받고 처음 구매시 지불한 수수료도 받을 예정입니다. 아마 15만7천원 정도 들어오겠네요. 구매한지 3주 채 안되어서 수익이 발생했습니다.

 

두번째 작품 두민작가님

 


이분 작품은 제가 두번째로 투자하였는데 워낙 인기가 있어서 투자한지 2주정도만에 매도하게 되었습니다.
이작품도 10%정도 더 받았습니다.

 

세번째 작품 쿠시마 야요이 작가님

 

제가 현재 투자한 작품은 쿠시마 야요이 작가님의 작품인데요.
이분은 워낙 호박 예술품으로 유명하신분이라 공동구매장이 열리자마자 그날 다팔리더라구요..
제일 많은 금액을 투자하였고 개인적으로 기대를 많이 하고있는 작품입니다.
이작품도 빨리 팔렸으면 좋겠네요 ^^


이렇게 저는 운좋게 고정수익을 받기도 전에 모든 작품이 팔려서 시세차익으로 얻었지만 좀 더 장기적으로 갔을때는 어떤 메리트가 있는지 경험하고 다시 한 번 후기를 올리겠습니다.

이렇게 시세차익 10%씩 받고 고정수익도 있는 제테크는 흔치 않습니다.


아트테크 한번 관심 가져서 해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www.weshareart.com/





 

ART TOGETHER

다카시 무라카미 < Flower > 매각 안내 낸시랭 작가가 궁금하다면? 낸시랭 작품이 궁금하다면? 두민, 작가와의 만남 어땠을까?

www.weshareart.com